[별표 5] <개정 2008.12.31>
공사예정금액의 규모별 건설기술자 배치기준(35조제2항 관련)
공사예정금액의 규모 건설기술자의 배치기준
700억원 이상(법 제93조제1항이 적용되는 시설물이 포함된 공사인 경우에 한정한다) 1. 기술사





500억원 이상







1. 기술사 또는 기능장
2.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건설기술자 중 해당 직무분야의 특급기술자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자
300억원 이상











1. 기술사 또는 기능장
2. 기사 자격취득 후 해당 직무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한 자
3.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건설기술자 중 해당 직무분야의 특급기술자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100억원 이상



















1. 기술사 또는 기능장
2. 기사 자격취득 후 해당 직무분야에 5년 이상 종사한 자
3.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건설기술자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 해당 직무분야의 특급기술자
. 해당 직무분야의 고급기술자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4. 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해당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종사한 자
30억원 이상





1. 기사 이상 자격취득자로서 해당 직무분야에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2. 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해당 직무분야에 5년 이상 종사한 자
   
  3.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건설기술자 중 다음 각 목의 1에 해당하는 자
. 해당 직무분야의 고급기술자 이상인 자
. 해당 직무분야의 중급기술자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30억원 미만













1. 산업기사 이상 자격취득자로서 해당 직무분야에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2.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건설기술자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 해당 직무분야의 중급기술자 이상인 자
. 해당 직무분야의 초급기술자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비고
1. 위 표에서 "해당 직무분야"국가기술자격법2조제3호 또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별표 1에 따른 직무분야를 말한다.
2. 위 표에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이란 건설기술자를 배치하려는 해당 건설공사의 목적물과 종류가 같거나 비슷하고 시공기술상의 특성이 비슷한 공사를 말한다.
3. 위 표에서 "시공관리업무"란 건설공사의 현장에서 공사의 설계서 검토·조정, 시공, 공정 또는 품질의 관리, 검사·검측·감리, 기술지도 등 건설공사의 시공과 직접 관련되어 행하여지는 업무를 말한다.
4. 위 표에서 "시공관리업무" "실무"에 종사한 기간에는 기술자격취득 이전의 경력이 포함된다.
5. 전문공사를 시공하는 업종을 등록한 건설업자가 시공하는 1건 공사의 공사예정금액이 5억원 미만의 공사인 경우에는 해당 업종에 관한 별표 2에 따른 등록기준 중 기술능력에 해당하는 자로서 해당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자를 배치할 수 있다.
6. 전문공사를 시공하는 업종을 등록한 건설업자가 시공하는 1건 공사의 공사예정금액이 1억원 미만의 공사인 경우에는 해당 업종에 관한 별표 2에 따른 등록기준 중 기술능력에 해당하는 자를 배치할 수 있다.

 

수목 생태적 특성별 분류

수목의 생태적 특성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특성에는 내음성, 내한성, 내염성 등이 있습니다. 물론 다른 특성들도 중요하지만 이번에는 대표적인 3가지 특성에 따른 수목을 분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내음성에 따른 분류

- 내음성은 수목이 그늘진 곳에서도 광합성을 하여 독립 영양을 취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하는 것이며내음성이 강하다는 것이 나무가 그늘진 것을 좋아한다기보다는 생존력이 강하다는 걸로 이해하면 된다. 음수도 커갈수록 햇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내음성은 식재설계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특성 중 하나입니다.

분류 기준 침엽수 활엽수
극음수 전광의 1~3%에서 생존가능 개비자나무,금송,
나한백,주목
회양목,사철나무,호랑가시나무,굴거리나무,
백량금,식나무,황칠나무
음수 전광의 3~10%에서 생존가능 가문비나무,비자나무,
솔송나무,전나무류
화살나무,너도밤나무,녹나무,단풍나무류,서어나무류,송악,칠엽수,함박꽃나무,개쉬땅나무,생강나무,매자나무
중용수 전광의 10~30%에서 생존가능 잣나무류,편백,화백 철쭉류,진달래,개나리,회화나무,때죽나무,동백나무,산사나무,산딸나무,생강나무,수국,은단풍,목련류,수수꽃다리,좀작살나무,백당나무,병꽃나무,꽃댕강나무,덜꿩나무
양수 전광의 30~60%에서 생존가능 소나무류,은행나무,측백나무,향나무류,히말라야시다,낙우송,메타세콰이아,삼나무 느티나무,수수꽃다리,모감주나무,무궁화,밤나무,배롱나무,벚나무류,플라타너스,쥐똥나무,튤립나무,자귀나무,이팝나무,산수유,오동나무,오리나무,등나무,위성류,층층나무,주엽나무,박태기나무,싸리나무,해당화,장미,옥매화,나무수국,꽃말발도리,모란,산철쭉,히어리
극양수 전광의 60%이상에서 생존가능 대왕송,방크스소나무,
낙엽송,연필향나무
버드나무,자작나무,붉나무,포플러류,두릅나무,예덕나무

 

2) 내한성에 따른 분류

분류 기준 수목
내한성 강 우리나라 중부이북 지방에서도 추위로 인하여 생육에 지장을 받지 않음 주목,잣나무,섬잣나무,소나무,독일가문비,젓나무,측백나무,서양측백,화백,향나무,은행나무,낙우송,호두나무,자작나무,서어나무,밤나무,상수리나무,참느릅나무,느티나무,팽나무,계수나무,목련, 백목련,일본목련,튤립나무,양버즘나무,모과나무,산사나무,귀룽나무,꽃사과,왕벚나무,살구나무,자두나무,복숭아나무,배나무,팥배나무,마가목,아까시나무,회화나무,쉬나무,가중나무,붉나무,참빗살나무,중국단풍,신나무,단풍나무,네군도단풍,복자기,은단풍,칠엽수,피나무,노각나무,위성류,층층나무,말채나무,산딸나무,산수유,감나무,때죽나무,쪽동백,꽃개오동,모감주나무,대추나무,이팝나무,옥향나무,눈향나무,회양목,모란,매자나무,생강나무,나무수국,꽃말발도리,명자나무,황매화,옥매,앵두나무,장미,해당화,조팝나무,개쉬땅나무,안개나무,박태기나무,싸리나무,낙상홍,화살나무,보리수나무,흰말채나무,홍철쭉,진달래,철쭉,산철쭉,노린재나무,미선나무,개나리,쥐똥나무,수수꽃다리,좀작살나무,누리장나무,괴불나무,백당나무,병꽃나무,덜꿩나무,가막살나무,분꽃나무,히어리,풍년화,무궁화,으름덩굴,등나무,노박덩굴,담쟁이덩굴,인동덩굴,조릿대,실유카,
내한성 중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추위로 인하여 잎 또는 줄기 일부에 피해를 받음 곰솔,개잎갈나무,편백,가시나무,태산목,후박나무,아왜나무,굴거리나무,매화나무,자귀나무,벽오동,석류나무,배롱나무,남천,피라칸사,호랑가시나무,꽝꽝나무,사철나무,영산홍,광나무,무화과나무,수국,탱자나무,꽃댕강나무,능소화,
내한성 약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추위로 인하여 고사하며 남부 지방 이남에서만 생육이 가능함 먼나무,동백나무,돈나무,다정큼나무,우묵사스레피,팔손이,식나무,목서,협죽도,치자나무,

 

 

 

 

3) 내염성에 따른 분류

분류 기준 수목
내염성 강 염해로 인한 잎과 가지의 고사현상이 별로 없음 계수나무,감나무,모과나무,아까시나무,가중나무,귀룽나무,개오동나무,벽오동,오동나무,배롱나무,느릅나무,대추나무,네군도단풍,당단풍,때죽나무,물푸레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굴피나무,모감주나무,멀구슬나무,말채나무,목련,백목련,수양버들,수양벚나무,석류나무,쉬나무,염주나무,이팝나무,자귀나무,위성류,음나무,팽나무,피나무,가중나무,참빗살나무,개나리,가막살나무,노린재나무,낭아초,괴불나무,골담초,무궁화,무화과나무,단풍철쭉,철쭉,산철쭉,말발도리,딱총나무,보리수나무,분꽃나무,부용화,박태기나무,댕강나무,백당나무,병아리꽃나무,싸리,산초나무,좀작살나무,진달래,수수꽃다리,탱자나무,화살나무,붉나무,쥐똥나무,천선과나무,해당화,곰솔,주목,향나무,눈향나무,섬잣나무,소나무,비자나무,황칠나무,동백나무,가시나무,호랑가시나무,종가시나무,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담팔수,소귀나무,아왜나무,후박나무,사철나무,금테사철나무,광나무,동나무,다정큼나무,백량금,식나무,치자나무,팔손이,협죽도,사스레피나무,노박덩굴,보리장나무,마삭줄,모람,송악,으름덩굴,인동덩굴,위령선,,잔디,맥문동 등
내염성 중 염해로 인한 잎과 가지의 고사현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남 상수리나무,졸참나무,서어나무,노각나무,단풍나무,홍단풍,오리나무,왕벚나무,산벚나무,산사나무,살구나무,주엽나무,쪽동백나무,칠엽수,채진목,팥배나무,왕버즘나무,회화나무,고로쇠나무,소태나무,남천,명자꽃,황매화,고광나무,생강나무,회잎나무,반송,솔송나무,스트로브잣나무,가이즈까향나무,측백나무,둥근측백나무,실화백,리기다소나무,눈주목,옥향,감탕나무,굴거리나무,먼나무,태산목,후피향나무,꽝꽝나무,만병초,회양목,서향,메타세콰이아,낙우송,조릿대 등
내염성 약 염해로 인하여 수목이 고사함 느티나무,백합나무,매실나무,복자기,일본목련,자목련,아그배나무,산수유,야광나무,자작나무,층층나무,은단풍,함박꽃나무,자두나무,산딸나무,배나무,꼬리조팝나무,일본조팝나무,매발톱나무,개쉬땅나무,매자나무,모란,삼지닥나무,나무수국,수국,옥매,흰말채나무,오갈피나무,흰말채나무,풍년화,장미,히어리,금송,백송,구상나무,개비자나무,비파나무,녹나무,목서,오미자,비비추,피나물,은행나무 등

 

 

 

 

인천 대표 조경회사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전문건설업체입니다.

계양구 등산로 조경공사 사진입니다.  

조경 견적문의는 032-428-2984

 

 

 

 

 

 

 

 

 

 

 

ㅣㄱ재,

 

 

 

 

원형테이블설치,인공토포설, 디딤석설치, 자갈포설, 등의자, 파고라,야외테이블, 트랠시스시공, 수목식재 등

옥상조경공사 견적문의 032-428-2984  방지거조경(주)

 

 

 

 

 

 

 

 

 

 

 

 

 

 

 

 

 

 

 

년간 시기별 병해충별로 진단하여 맞춤 방제실시-나무병원2종 업체

옥상조경공사, 방수방근시트,배수판깔기, 인공토 포설, 수목식재, 시설물 디딤석 시공등

견적문의  032-428-2984  방지거조경(주)

 

 

 

 

 

 

 

 

 

 

 

 

 

 

 

 

 

 

 

 

 

 

 

 

남동구청 옥상조경-시공사:방지거조경(주) 파고라,소형파고라,목재데크,수목식재,잔디,트랠리스,디딤석등

 

옥상조경공사 인천 옥상조경 옥상조경업체 인천조경 인천조경회사 인천조경업체 인천조경잘하는곳 조경관리 조경식재 조경시설물 방지거조경
청라 중앙공원 상가시설 옥상조경공사

 

 

 

 

 

 

 

 

 

옥상조경공사 인천 옥상조경 옥상조경업체 인천조경 인천조경회사 인천조경업체 인천조경잘하는곳 조경관리 조경식재 조경시설물 방지거조경
청라 중앙공원 상가시설 옥상조경공사

나무소독, 진딧물, 흰불나방, 깍지벌레 방제작업

회사,공장,학교, 관공서 

견적문의 032-428-2984 방지거조경(주)

+ Recent posts